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학생의 과학과 수학 학업성취도 및 비판적 사고력과의 관계 분석

Thumbnail Image
Date
2013-01-01
Authors
Park, Y.
Yoon, S.
Hand, Brian
Therrien, William
Shelley, Mack
Major Professor
Advisor
Committee Member
Journal Title
Journal ISSN
Volume Title
Publisher
Authors
Person
Shelley, Mack
University Professor
Research Projects
Organizational Units
Organizational Unit
Political Science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has been a separat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formerly the College of Sciences and Humanities) since 1969 and offers an undergraduate degree (B.A.) in political science, a graduate degree (M.A.) in political science, a joint J.D./M.A. degree with Drake University, an interdisciplinary degree in cyber security, and a graduate Certificate of Public Management (CPM). In addition, it provides an array of service courses for students in other majors and other colleges to satisfy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in the area of the social sciences.
Organizational Unit
Statistics
As leaders in statistical research, collaboration, and education, the Department of Statistics at Iowa State University offers students an education like no other. We are committed to our mission of developing and applying statistical methods, and proud of our award-winning students and faculty.
Journal Issue
Is Version Of
Versions
Series
Department
Political ScienceStatistic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특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초등학교 통합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 능력에 미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미국 중부의 한 주(state)의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비교집단 학교로 나누어, 각 학교에서 통합교육 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 검사와 과학 및 수학능력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과학 및 수학 교과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에 비판적 사고력의 4개 하위범주인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 력, 추정적 사고력 검사결과를 비교하였고, 비판적 사고력과 과학 및 수학 학업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통해서 과학 능력 및 수학능력이 증가하였다. 학생들의 비판적 사 고력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은 학생들의 과 학 및 수학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학생들의 귀납적 사고 력과 관찰적 사고력을 통하여 과학 및 수학능력 향상을 설명할 수 있는 회귀 모형을 발견하 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능 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좀 더 구체적인 경험 및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서 학습 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비판적 사고력의 한 영역인 추 정적 사고력은 특별한 교육적 지원요구를 지닌 초등학교 통합학생들의 과학 및 수학능력 향 상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사고력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추정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왜 중요한지, 후속 연구를 통해서 이를 향상시킬 수 있 는 중재방법을 새롭게 고안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논의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Comments

This article is from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 (2013): 411. Posted with permission.

Description
Keywords
Citation
DOI
Source
Copyright
Tue Jan 01 00:00:00 UTC 2013
Collections